“암호화폐의 미래: 혁신과 규제를 넘어선 한국 금융의 방향”
- 경수 김
- Nov 14, 2024
- 2 min read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는 오랫동안 금융 업계에서 뜨거운 감자로 남아 있다. 한국은행의 금융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담당하면서 화폐의 본질은 결국 '신뢰'에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법정화폐는 본질적으로 국가의 신뢰에 기반을 둔다. 이러한 관점은 비트코인을 이해하는 데 새로운 시각을 제공했다.
비트코인은 분산 서버 기술, 즉 블록체인에 의해 운영된다. 탈중앙화된 이 시스템 덕분에 그 가치는 어떠한 중앙 기관의 개입 없이 유지된다. 하지만 비트코인의 가장 큰 단점은 '변동성'이다. 극심한 가격 변동은 결제 수단으로서의 비트코인의 사용을 방해하는 주요 요인이다. 그리고 여기서 “스테이블 코인(Stablecoin)”이라는 해답이 나온다.
스테이블 코인은 테더(USDT), USD 코인(USDC)과 같은 변동성이 적은 코인을 포함한다. 그들의 가치는 미국 달러와 같은 안정적인 자산에 연결돼 있어 결제와 송금에 더 실용적이다. 그러나 이들 또한 리스크가 없다면 거짓말일 것이다. 스테이블 코인의 신뢰는 그 발행자의 안정성과 투명성에 크게 의존한다. 또한, 각국의 규제는 여전히 가장 큰 이슈로 남아 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조치는 큰 파급력을 미쳤다. 리플(XRP)부터 TON 네트워크까지 많은 암호화폐 프로젝트들이 법적 압박을 받았다. 이는 혁신을 억제하고, 성장의 발목을 잡는 결과를 초래했다. 법적 분쟁을 견뎌낼 수 있는 기업은 견뎌낼 수 있을지 모르지만, 그렇지 않은 많은 중소기업들은 그만한 여력이 없어 폐업에 이르게 된다.
한국의 상황 또한 크게 다르지 않다. 2017년 ICO(Initial Coin Offering) 전면 금지 조치는 많은 기업의 혁신적인 시도를 가로막았다. 해외 법인을 통해 우회적으로 사업을 이어가고 있지만, 이 또한 자본과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에게는 상당한 부담이다. 이러한 규제의 불명확성은 오히려 비법적 시장을 만들어낸다.
최근 국회 토론회에서는 한국이 미국의 정책 방향을 참고하여 더욱 명확하고 합리적인 규제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SEC의 강력한 규제 정책이 논란을 일으킨 만큼, 한국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올바른 규제가 마련된다면, 암호화폐는 금융 시스템의 새로운 기반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금융 환경이 지속 가능하고 혁신적인 방향으로 나아가려면, 법적 명확성과 균형 잡힌 규제 체계가 필수적이다. 이는 단순히 사업자들에게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할 뿐 아니라 국가 전체 경제의 장기적인 경쟁력을 강화하는 길이기도 하다.
Comments